
요약: 도커 이미지 레이어와 Dockerfile의 유연성
- 이미지 레이어의 역할:
- Dockerfile에서 실행한 명령과 이로 인해 발생한 파일 시스템 변경은 레이어에 저장됨.
- 이러한 구조 덕분에 도커 이미지는 효율적이고 유연하게 관리 가능.
- Dockerfile의 유연성:
- Dockerfile은 다양한 작업을 패키징 과정에 포함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.
- 예:
- 이러한 작업을 Dockerfile 단계로 추가해 이미지 생성 가능.
- 결론:
- Dockerfile과 이미지 레이어 구조는 도커를 강력한 패키징 및 배포 도구로 만들어줌.
- 복잡한 작업도 이미지에 포함시켜 배포 환경에서 일관된 실행 가능.
4.1 Dockerfile 이 있는데 빌드 서버가 필요할까?

요약: 팀 개발에서 빌드 절차의 중요성과 문제점
1. 팀 개발에서의 빌드 절차
- 개인 작업에서는 단순히 로컬에서 빌드하지만, 팀 개발에서는 엄격한 전달 절차가 필요.
- 형상 관리 시스템(GitHub 등) 과 빌드 서버를 사용해 팀 작업을 효율적으로 관리:
- 각 개발자가 작업한 코드를 푸시.
- 빌드 서버에서 자동으로 빌드 진행.
- 빌드 실패 시 팀원에게 문제를 즉시 알림.
2. 문제점
- 유지 보수 오버헤드:
- 빌드 서버 유지 비용이 추가로 발생.
- 빌드를 위해 다양한 도구 설치 및 유지 필요.
- 새로운 개발자의 진입 장벽:
- 신규 팀원은 개발 환경을 설정하는 데 많은 시간을 소비.